아기의 시각, 청각, 촉각, 감정을 존중하는 아기를 위한 분만법으로, 태아자극을 최소화하는 태아중심의 분만법입니다.
프레드릭 르봐이예박사는
1937년 파리 의과대학을 졸업한 프랑스의 유명한 산부인과의사입니다.
1953년부터 산과학 연구을 하면서 1만여명의 신생아 탄생을 보면서 몇 가지의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태아가 태어날 때 행복한가 ? 스트레스는 받지 않는가?등 태아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먼저 엄마의 자궁 안은 어둡지만 양수라는 좋은 방과 엄마의 방음장치가 있는 아늑한 공간입니다. 그러한 좋은 방에서 나오니 강열한 빛과 소리로 불안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받던 탯줄마저 잘리므로 공포와 불안으로 떨게 됩니다. 르봐이예 박사는 탄생의 첫 순간을 아기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방법으로, 아기의 시각, 청각, 촉각, 감정을 존중해 주어야 하는 다섯가지 수칙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분만실의 조명을 최소화 (신생아의 시각에 대한 배려)
어둠 침침한 자궁 안에서 나온 태아의 시력을 분만실의 강렬한 조명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정감을 주기 위해 머리가 보이고 위험이 없어지면 조명을 최소화하여 아기의 형태만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 어둡게 해줍니다.
분만에 입하는 의료진은 속삭이는 소리로 대화 (신생아의 청각에 대한 배려)
아기들은 자궁 속에 있을 때부터 엄마의 몸에서 나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중 에도 엄마의 강렬한 심장 고동 소리가 리듬을 가지고 있어 이 소리를 마음속에 지니고 태어납니다. 그리고 태어나서 처음 듣게 되는 엄마의 목소리는 아기에게 영원한 인상을 주게 되는 겁니다. 분만을 돕기 위해 분만실 안에 있는 의료진은 할 말이 있으면 속삭이는 소리로 대화하여 아기의 첫 순간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태어나는 즉시 엄마 품에 안겨준다. (신생아의 촉각에 대한 배려)
어둠 침침한 자궁 안에서 나온 태아의 시력을 분만실의 강렬한 조명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정감을 주기 위해 머리가 보이고 위험이 없어지면 조명을 최소화하여 아기의 형태만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 어둡게 해줍니다.
분만 5분후에 탯줄을 자른다. (신생아의 호흡에 대한 배려)
태아는 탯줄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았으나 자궁 밖으로 나오면서 폐호흡을 시작 하게됩니다. 탯줄을 자르지 않으면 신생아는 탯줄에 의한 호흡과 폐호흡을 함으로써 이중 호흡을 통해 보다 안전한 산소 공급을 받게 되고 서서히 폐호흡에 적응하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탯줄의 맥박이 있는 4-5분간 탯줄을 자르지 않고 기다리는 겁니다. 그동안 아기는 엄마의 배 위에서 엄마의 심장 박동소리를 들으며 새로운 세상 속에서의 호흡법으로 적응되어 가는 겁니다.
신생아를 물에서 놀게한다. (신생아의 중력에 대한 배려)
아기는 엄마 자궁 속의 양수라는 따뜻함과 부드러움이 있는 곳에서 새처럼 가볍게 유영하며 지내 왔습니다.탯줄을 자르고 나서 체중계나 딱딱한 아기 침대로 보내지 않고 다시 목욕물 속으로 보내 자신의 몸에 가해지는 중력의 부담에 대한 적응을 시키는 겁니다. 물 속에 들어간 아기는 눈을 뜨고 손을 움직여 허공을 한번 더듬어 보기도 합니다. 물 속에 놓아두는 시간은 아기가 완전히 느슨해지고 긴장이 사라지는 시점까지입니다. 그리고 나서 아기를 물에서 천천히 건져 올립니다. 이때 아기는 자기 무게를 발견하고 울게 됩니다.그러면 다시 아기를 천천히 물 속에 천천히 다시 넣는 과정을 반복해줍니다. 이 과정은 아기가 중력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