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의료정보
산과클리닉
관련정보
임신의 기쁨에서 탄생의 기쁨까지
임신의 징후
- 무월경
- 구역질 -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6주
- 복부 크기 증가 - 임신 12주 이후
- 태동 - 임신 16 - 20주
- 유방변화, 자궁크기 증가
- 자궁경부 변화 - 임신 6-8주
- 질 점막 색조
- 양성 임신반응검사
- 객관적 자궁수축, 태아운동 인지
- 태아심음 청취
- 태아 골격 X선 촬영
- 초음파
임신 초기
임신 초기
동영상 4차원 초음파검사 시기와, 항목, 내용
개월수 |
태아의 신장과 체중 |
태아의 발육 |
모체의 변화 |
임신 초기 |
1개월 |
|
- 수정이 되는 것은 최종 월경일의 첫날부터 2주간 정도 후로 수정란은 즉시 분열증식을 시작함
|
- 모체에는 아직 눈에 띨 정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음
|
2개월 |
|
- 수정란은 융모조직의 부분과 태아가 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짐
- 이 때에는 머리부위, 몸통, 손·발의 신체 구분이 아직 확실하지 않음
|
- 식욕이 없어지고 구토증(입덧)이 일어나기 시작함
- 자궁은 큰 새 알 정도의 크기가 됨
|
3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9cm
- 태아의 체중 약 20g
|
- 손·발의 모양이나 머리 부위와 몸통의 구별이 확실하여 사람 모습에 가까워짐
|
- 3개월 초에는 구토증이 심하게 됩니다
- 자궁은 주먹 크기 정도로 커지고 방광을 압박하게 되기 때문에 소변이 자주 보아지거나 변비가 생기기 쉬움
|
4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16 - 18cm
- 태아의 체중 약 110g
|
- 4개월 반경에는 태반이 완성되고 제대를 통해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 영양공급이나 노폐물의 처리등이 행해지고 태아의 성별이 확실해짐
|
- 3개월 초에는 구토증이 심하게 됩니다
- 입덧 증상이 없어지고 자궁은 아기머리 크기 정도가 되지만 커지는 부분이 위쪽으로 되기 때문에 방광의 압박은 오히려 적어지게 됨
|
임신 초기의 주의사항
- 예정 월경일이 2주간 이상 늦어지면 임시진단을 받아볼 것
- 엑스선 투시, 약물복용 등은 산부인괴 전문의 지시를 따를 것
- 과격한 일이나 운동, 여행 등은 각별히 주의가 필요함
- 4주에 1회 정기 진찰을 받을 것
임신 중기
임신 초기
동영상 4차원 초음파검사 시기와, 항목, 내용
개월수 |
태아의 신장과 체중 |
태아의 발육 |
모체의 변화 |
임신 중기 |
5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20 - 25cm
- 태아의 체중 약 300g
|
- 태아의 모양은 완전히 사람의 형체로 되어있지만 머리가 큰 불균형 상태임
- 활발히 움직이기 때문에 태동을 느낄 수 있게 됨
|
- 자궁이 어른 머리 정도로 되기 때문에 아랫배가 불러지며 식욕이 늘게되고 초유의 분비가 있게 됨
|
6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28 - 30cm
- 태아의 체중 약 650g
|
- 태아의 모양은 서서히 균형이 잡힘
- 두발도 확실히 볼 수 있게 되고 움직이는 동작뿐만 아니라 복잡한 생리 기능을 보이기 시작함
|
- 임신상태의 안정기가 계속되고 전체로서는 쾌적한 시간이지만, 빈혈증세가 일어나기도 하고 자궁이 커지므로 하반신의 혈액순환이 막히는 것이 원인이 되어 치질이 생기기도 함
|
7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35cm
- 태아의 체중 약 1000g
|
- 차츰 머리를 아래로 향한 자세를 취하기 시작함
- 모체 밖에서의 발육은 가까스로 가능하나 생존 가능성은 희박함
|
- 배의 크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점점 몸의 균형에 변화가 오고 요통이 일어나기도 함
- 복부나 유방의 피부에 임신선이 나타나게 됨.
|
임신 말기
임신 초기
동영상 4차원 초음파검사 시기와, 항목, 내용
개월수 |
태아의 신장과 체중 |
태아의 발육 |
모체의 변화 |
임신 말기 |
8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40cm
- 태아의 체중 약 1,500g
|
- 대부분은 머리를 아래로한 통상의 자세로, 태아의 위치나 자세가 거의 정해지는 시기임
- 몸은 거의 10개월의 태아와 같으나 피하지방은 아직 부족함
|
- 자궁이 수축되기 쉽고 가끔 팽팽하게 땡기는 것을 느끼게 됨
- 임신선, 요통, 치질 등이 더욱 심해짐
|
9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45 - 46cm
- 태아의 체중 약 2,300 - 2,600g
|
- 전신의 균형이 성숙한 태아의 모습으로 되어 10개월 말의 태아에 비해 신장과 체중이 약간 미달되고 손톱이 손가락 끝까지 나와 있지 않다는 것이 다를 정도임
|
- 자궁의 높이는 명치끝 가까이까지 올라가고 위, 심장, 폐가 압박되어 식사량이 줄게되고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가 힘들게 되는 것을 느끼게 됨
|
10개월 |
- 태아의 신장 약 50cm
- 태아의 체중 약 3,000g
|
- 모체 밖에서 성장 할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성숙됨
- 보통 머리를 밑으로 향한 자세의 경우에는 머리 부위가 골반 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함
|
- 만이 가까워지므로 자궁의 높이는 서서히 내려가고 불규칙적인 자궁수축 ,변비, 빈뇨가 있게 됨
|
임신 말기의 주의사항
- 임신중독증을 일으키기 쉬운 식염의 섭취를 적게하도록 함
- 조산에 주의
-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해야함
- 8·9개월에는 2주에 1회, 10개월에는 매주 정기검진을 받도록 함
한눈에 보는
태아 모습
- 0~3주 태아
- 4~7주 태아
- 8~11주 태아
- 12~15주 태아
- 16~19주 태아
- 20~23주 태아
* 이미지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8912&cid=51027&categoryId=51027